충남도내 초·중·고등학교에 설치된 인조잔디운동장이 ‘혈세 먹는 하마’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다. 특히 인조잔디운동장을 설치한 도내 학교는 막대한 개·보수 비용과 아토피 유발, 발암물질 검출 등 문제점이 더해지면서 논란이 심화되고 있다.
◇ 충남지역 인조잔디 운동장 88개… 개보수 비용 막대
충남도내 140개 초·중·고 운동장 가운데 인조잔디운동장은 88개교. 당진지역은 8곳으로 알려졌다.
문제는 5년 이상 경과한 인조잔디운동장의 경우 1개교당 교체비용만 4~5억원 이상(용역 산출 금액)든다는 점. 도내 5년 이상 된 인조잔디운동장은 88개교 중 22개교다. 도교육청과 해당 지자체는 올해부터 5년 이상 된 인조잔디운동장을 선정해 예산을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.
도교육청은 국민체육진흥공단과 교육부 계획에 따라 5년 이상 지난 인조잔디운동장 1~2곳을 선정해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. 개보수 비용은 총 5억원으로 폐기물 처리 비용만 2억원이 든다.
당장 22개교를 개보수한다고 해도 무려 10년간 11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. 만약 도내 전체 인조잔디운동장을 개보수한다면 440억원의 예산이 드는 것으로 추산된다.
◇ 지속적 관리 필수, 일선학교 ‘한숨만‘
인조잔디운동장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다. 기존의 흙바닥에 콘크리트를 깔고 그 위에 인조잔디를 조성하기 때문에 쿠션 구실을 하는 충진재(고무 알갱이)를 최소 1년에 한 번 2000만~4000만원을 들여 보충해야 한다. 따라서 충진재 보충비용, 처진 인조잔디를 세우는 비용 500만~800만원 등 제대로 인조잔디운동장을 관리하려면 1개교당 연간 4000만원 이상이 필요하다.
그러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게 현실이다. 인조잔디 운동장을 관리하는 정부 예산이 없는 데다 유지보수에 관한 규정도 없다. 대부분 학교는 일반인에 개방하고 받은 사용료를 관리비로 충당하는 실정으로 나타났다. 이 때문에 일선 학교의 고민도 늘어나고 있다.
◇ 학생들 안전에 ‘빨간불‘… 환경 문제 심각
환경 문제도 심각하다.
인조잔디 부스러기가 날리고 고무 냄새까지 심하다. 여름에는 창문을 닫고 수업을 진행해야하는 상황이라 학생과 교사 등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.
또 인조잔디 운동장은 한여름에 70도까지 온도가 상승하여 현기증과 두통, 화상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, 운동을 할 때 회전 동작이 부자연스러워 무릎, 발목 부상이 자주 발생한다. 그래서 스프링클러 설치가 꼭 필요하지만 이를 설치한 학교는 단 한 곳도 없었다.
또한 발암물질인 아연, 납, 크롬 등 중금속도 검출되고 있다.
환경부가 지난 3월16일 발표한 인조잔디 유해물질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인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50개 학교와 공원 3곳 등 총 53개소에서 인조잔디 충진재(=고무분말)의 15%(=53곳 중 8곳)에서 납(Pb)이, 3.8%(=53곳 중 2곳)에서 다환방향족탄화수소(PAHs)가 ‘재활용 고무분말중의 유해물질에 대한 기준’을 초과했다.
환경부는 인조잔디 시설에서 활동한 학생들의 손 표면에서도 일부 중금속과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검출됐다고 발표하기도 했다.
또 조달청이 올해 상반기 각 학교의 인조잔디에 대한 샘플링 점검을 실시한 결과, 점검대상 20건 중 15건(75%)이 규격 미달인 것으로 나타났다.
교육계의 한 인사는 “인조잔디 구장은 교육적 목적과 효과보다 관리의 편리성과 경제성 중심으로 조성됐다는데 가장 큰 문제가 있다.”며 “인조잔디는 잔디의 기능과 모양을 흉내 낸 현대과학의 산물로 잔디의 대안이 될 수 없다.”고 강조했다.
이어 “게다가 수명이 5~7년으로 짧고 유지보수 비용이 때마다 1억원~1억5000만여원에 달해 추가 비용이 지속적으로 소요되는데다 노후화된 인조잔디로 인해 학생들의 안전사고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”이라고 주장했다.